2022. 4. 13. 00:53ㆍ기타정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가 있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쓰던 가전제품이 수명을 다했을 때 스티커를 사다 붙이는 방법을 많이 알고 계실 텐데요, 무상으로 수거하는 곳이 있답니다. '한국 전자제품 자원순환 공제조합'이라는 곳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은 물론 관련 판매업을 하는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홈페이지입니다. 오늘은 개인이 폐가전제품을 처리하고 싶을 때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라는 사이트에 방문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접수 절차는 홈페이지에서 1. 접수 - 2. 개인정보 동의 - 3. 배출예약 - 4. 신청 완료 - 5. 폐가전 수거입니다.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서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 혜택을 받으시려면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15990903.or.kr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 신청방법

폐가전제품 무상수거를 원하시면 메인화면에 있는 '수거 예약하기'를 눌러주세요.

1단계로 서비스 약관, 개인정보 이용동의,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를 잘 읽어보시고 동의에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체크를 하셨다면 화면의 아래에 '다음'을 클릭해 주세요.


2단계는 개인정보와 폐가전을 수거해 갈 주소, 배출 희망일자를 적어주세요.

3단계는 폐가전제품 무상수거를 할 배출품목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신청 시 주의해야 할 점은 폐가전제품 1개만 있어도 수거가 가능한 품목과 5개 이상 수거 가능한 품목으로 나뉘어 있는 점입니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 큰 폐가전제품은 1개만 있어도 수거가 가능합니다.

컴퓨터, 프린터, 팩시밀리, 전기히터, 가습기, 헤어드라이어, 오디오, 소형가전제품, 휴대폰 등 작은 가전제품은 5개 이상일 때 수거를 할 수 있으니 품목을 잘 확인한 뒤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수거 신청 제품은 검색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소형가전 5개 미만이거나, 수거 불가능한 품목은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하여 처리하면 됩니다.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신청 접수를 원하시는 분은 유의사항을 잘 확인 후 신청하세요. 특히 에어컨, 벽걸이TV, 빔 프로 제거, 유무선 공유기, 감시카메라는 기본 철거가 되어 있어야만 철거가 가능합니다. 인력으로 수거가 불가능한 제품은 수거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조치 후 신청하세요.

4단계로 선택된 배출품목과 기본정보를 확인 후 예약 확인 체크를 하면 끝입니다.


혹시 자신이 거주하는 곳이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서비스가 가능하지 궁금하신 분들은 메인화면 카테고리에서 '배출예약'을 눌러주세요. 하위 카테고리에 있는 '예약 가능지역 조회'를 클릭하신 뒤 자신의 거주지역을 쓰고 검색을 하면 폐가전제품을 수거 가능한 곳인지와 수거 가능 요일을 알려줍니다.
오늘은 폐가전제품 무상수거를 해주는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용자는 무료로 손쉽게 폐가전제품을 배출할 수 있고, 이곳에서는 폐가전제품의 불법적인 처리를 차단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를 하게 됩니다. 환경도 생각하고 리사이클링 되는 자재는 다시 사용이 된다니 환경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많은 분들이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